CPU만 바꾸었을 뿐인데 부팅이 안되네!!
신기하게도 우분투 서버 CPU를 교체하니 부팅 소식이 없다....
레거시 모드를 하면 된다고 인터넷에 나와 있지만 되지 않았다.
식은땀이 등줄기를 타고 흘렀다. 백업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백업을 생활화 하세요)
다시 백업을 하려면 다시 기존 CPU를 설치하고 부팅해서 백업을 해야한다.
그 끔찍한 상황이 머리 속에서 그려지니 다른 묘안을 생각했다.
( 다시 컴퓨터를 분해하고 써멀을 바르고... )
🧐 어떻게 할까...
컴퓨터가 바뀐 CPU를 인식하지 못하니
grub에 들어가서 바뀐 CPU 설정 값만 살짝 바꿔주면 되겠지!!
라고 생각했지만 그것은 지옥문을 여는 것과 마찬가지였다.
인터넷에 많은 글들을 따라해보며 grub를 살려보려 노력했다.
몇시간을 검은창 그리고 하얀 글자를 뚫어져라 쳐다보고
소식없는 모니터를 흐린 눈으로 바라만 보았다.
새벽시간에 머리가 아파 속이 메쓰꺼울 찰나 🤮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생각을 하기로 마음먹었다.
❓난 무엇이 필요한가?
내가 필요한 것은 LVM에 담겨있는 데이터이다.
어떻게하면 우분투를 새로 설치하지 않고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을까?
라면서 계속 머리를 굴렸다.
( 새로 설치하면 데이터가 모두 소멸된다. )
🎯 방안을 떠올리다
기가막힌 아이디어가 번뜩였다💡
부트로더가 고장 났으니 USB로 설치 디스크를 만들어서
부팅을 시켜보면 되지 않을까 생각했다.
USB 부팅 드라이브를 만들자
https://ubuntu.com/download/desktop
우분투 서버 이미지이다.
4년동안 업데이트를 해주는 안정된 버전 LTS를 다운 받는 것이 좋다!!
지금은 부팅할 때만 쓸 것이라서 큰 상관이 없기도 하다...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쉽게 USB 부팅 드라이브를 제작 할 수 있다.
컴퓨터 후면 USB 포트에 꼽기
비교적 최신 메인보드들은 USB가 인식되면
자동으로 부팅 디스크를 잡아 부팅해준다.
하지만 인식이 되지않고 부팅이 안된다면
Del키를 연타하여 바이오스 창에 진입 후
부팅 드라이브를 잡아 주어야한다.
참고 :
바이오스를 켤 때 컴퓨터 모니터의 해상도를 잘 생각해야한다.
UEFI가 FullHD만 지원하면 QHD 모니터에는 바이오스 화면이 나오지 않는다.
그래서 웬만하면 서브 모니터로 FHD 모니터 한 대 아니면
다양한 해상도를 지원해 주는 TV가 가장 이상적인 세팅이 아닐까하다.
우분투 부팅
검은화면 상단을 보면 주황색 바가 쳐져있다.
키보드 방향키로 끝까지 올려 help로 가서 쉘에 접속한다.
LVM을 찾자!
우선 스캔을 해보자
sudo lsblk
sudo vgscan
sudo lvscan
마운트 하기
LVM을 찾았으면 마운트를 해보자
sudo mount /dev/경로이름/경로이름 /mnt
sudo chroot /mnt
모두 입력 하였으면 /mnt에 쓰던 LVM 볼륨을 볼 수 있을 것이다.
USB로 복사하기
우선 연결되는 USB는 포맷이 FAT32 여야한다.
USB 찾기
sudo fdisk -l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USB 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
USB가 연결 될 디렉터리 생성하기
mkdir /media/usb32
미디어 폴더에 usb32 디렉터리를 하나 생성한다.
이 디렉터리에 USB를 마운트 시킬 것이다.
우리가 얼마나 편리한 OS들을 사용하고 있는지 알게된다.
USB와 만든 usb32 디렉터리 연결하기
sudo mount /dev/sdb1 /media/usb32
해당 구문을 입력하면 미디어 폴더에 usb32는 usb내용이 접속되게 된다.
복사해오기
cp -r /mnt/파일경로 /media/usb32
파일 경로가 헷갈린다면 해당 디렉터리에 접속해 pwd 명령어로 알아내면 된다.
왼쪽이 복사할 파일이고 오른쪽이 복사해 올 파일 경로이다.
✅ 우여곡절 백업을 끝마쳤다!!
다음 포스팅은 어떤 리눅스를 선택하면 좋은지 적을려고 한다.
필자의 글을 보고 삽질이 줄어들기를 바란다.
서버의 사양이 궁금하다면??
https://yy-tech.tistory.com/285
해당 포스팅을 읽어주세요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서버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Ubuntu 서버로 (114) | 2024.03.19 |
---|---|
CentOS 7.9 서버 설치기 (117) | 2024.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