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마침표 보다 쉼표를 나타내자
서버/Linux

다시 Ubuntu 서버로

by Y코더 2024. 3. 19.
728x90

간혈적으로 SSH 접속이 끊기다.

 

CentOS 7.9를 최신 프로세서로 사용하니 상당히 골머리가 아프다.

 

어찌저찌 랜드라이버,

그래픽드라이버를 깔고나서

사용만 잘하면 되겠지 싶었지만

어찌된 영문인지 레이턴시가 심해졌다.

 

필자는 잠시 🐉 용이 되어 불을 뿜을려고 준비를 했지만

마음을 가다듬고 다시 천천히 문제점을 살필려고 하였다.


어떤 것이 문제일까?

바이오스로 넘어가기 위해 Del키를 연타하였지만

엄청난 속도로 부팅이 되어서 그런지 진입 자체가 힘들었다.

이게 되나 싶을정도로 바이오스 진입이 안됬다.

 

계속 검은 화면 모니터를 보며

진지하게 키보드의 Del키를 연타하고 있었다.

( 마치 그 모습이 파칭코를 연상하게 한다.😅 )

 

처음부터 서버 메인보드에 키보드를 직결해서 Del키를 누르는데도 잘 안된다.

 

슈퍼피버 Del키 콤보에 도전하다 지쳐

결국에는 목이 말라 머그잔에 손이 향했다.

자꾸 물을 마시면 화장실만 가니... 어쩔 수 없이 물을 머금고 갈증을 버텨냈다.

 

HDMI가 말썽인가 싶어서

선을 다시 연결하려 책상위로 컴퓨터를 올렸다.

그리고 선을 뽑아내는데... 접지를 안 해서 그런지 예상치 못한 백만 볼트를 맞게 되었다.

 

아직 꼬북이🐢가 되는 준비도 안했는데 물을 뿜게 되었다.

⚡️짜릿한 충격이 손끝에 아릿하게 남아 잠이 모두 달아 났다.

 

그래도 다시 바이오스 화면이 떠서

부팅 드라이브를 다시 잡아주니 ssh 접속이 잘 된다.

 

하.. 많이 걱정이 되었다.

필자는 배워야 할 것도 많은데 이런 서버 세팅공부에 시간을 쓸 여력이 없다.


못 찾겠다 꾀꼬리🐤

아니... 꾀꼬리인데 왜 병아리 이모티콘일까?

병아리는 귀여우니 지나갈 때까지 잠시 눈감아주도록 하자.

 

큰일났다!! 자기 합리화를 하기 시작했다.

와우 찾아보니 CentOS 7.9 는 2024년 6월 30일 지원 종료라고 적혀있었다.

그러면 CentOS 7.9를 설치하는 의미가 없지 않은가~!!

이제 대 우분투의 시대가 오는 것이 아닐까 살짝 기대해보았다.

 

다시 우분투로 서버를 설치 할 생각에 마음이 푸근해졌다.


고향 땅으로 돌아가자

다시... 가자 우분투로!!!

 

아차 잠깐~!!

우분투의 뜻을 아는가?

 

고대 아프리가 단어인 우분투는

" 네가 있으니 내가 있다  "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잠시 우분투 공식 문서를 보자

https://ubuntu.com/about

 

https://ubuntu.com/about

 

ubuntu.com

 

요약하자면

리눅스는 무료 운영체제였지만

상업적이고 지원받지 못하는 커뮤니티 버전,

개인 및 기업용 유료 버전으로 단편화 되있었다.

 

무료버전은 사용하기가 매우 어려웠고

유료버전은 비용이 많이 들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Mark Shuttleworth 님이 Canonical을 설립하고 

Ubuntu라는 사용하기 쉬운 Linux 데스크탑을 제작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우분투는 무료 소프트웨어라는 기반에서 발전을 이루었다.

아름답지 않는가?? 필자도 언젠가 우분투 처럼 멋진 작품을 만들고 싶다.

 

Baba yetu를 듣고가자

https://www.youtube.com/watch?v=8vsezgP8rjs


설치하기

https://yy-tech.tistory.com/290

 

우분투 서버 부팅 안될 때 파일 백업하기

CPU만 바꾸었을 뿐인데 부팅이 안되네!! 신기하게도 우분투 서버 CPU를 교체하니 부팅 소식이 없다.... 레거시 모드를 하면 된다고 인터넷에 나와 있지만 되지 않았다. 식은땀이 등줄기를 타고 흘

yy-tech.tistory.com

 

이때 만들어둔 USB 부팅 디스크를 꺼내었다.

각 버전마다 장단점이 있으니 고려를 깊이 해보아야한다.

만일 최신 프로세서이다! 하면 최신 버전을 설치하는 것이 좋고

조금만 찾아보아도 내 CPU가 해당 버전의 우분투를 지원하는지 알 수 있다.

 

주의할 점은

설치하면 모든 데이터가 날라간다!!

언어는 영어로 키보드는 한글로 추천한다.

마지막에는 ssh 서버와 도커 설치를 하면 편하다.


중요한 세팅

이번에도 root 로그인을 차단해야한다.

https://yy-tech.tistory.com/291

 

CentOS 7.9 서버 설치기

어떤 리눅스를 사용하면 좋을까? 대표적으로 리눅스 배포판은 2종류로 나눈다. 레드햇 계열과 데비안 계열이다. 필자는 두가지를 써보았다. 1. 우분투 2. CentOS 우분투는 데비안 계열이고 CentOS는

yy-tech.tistory.com

 

해당 게시물을 읽으면 PermitRootLogin으로 root 로그인을 차단 할 수 있다.

root 로그인을 열어두면 상당히 위험한 일이 벌어진다.

 

 

해당 캡쳐본은 필자의 시놀로지 로그이다.

거의 2분에 1번씩 root 계정으로 로그인을 시도한다.

이론상 로그인이 되지는 않지만 상당히 찝찝하다.

 

이는 특정 포트에 대해서 봇이 자동으로 아이피를 변경하면서 공격하는데

자주 쓰이는 포트는 포트포워딩시 피하는 것이 좋다.

 

443과 80은 어쩔 수 없다...


데비안 계열 리눅스 특징

루트 패스워드가 없이 설치가 된다!!

그래서 root 패스워드를 설정해보자

 

sudo passwd root

 

를 쉘에 입력하고 root 패스워드를 생성하면 된다.


절전모드 해제

설치 후 화장실이나 근처 편의점에 갔다오면

화면이 자꾸 꺼진다. 그리고 ssh 접속도 안된다.

흔들어 깨우는 과정은 매우 번거롭기에 절전모드를 해제하자.

 

systemctl status sleep.target suspend.target hibernate.target hybrid-sleep.target

 

해당 구문을 입력하면 loaded로 되어있다.

 

sudo systemctl mask sleep.target suspend.target hibernate.target hybrid-sleep.target

 

이 구문으로 절전 해제를 하면된다.

  • sleep.target : 잠깐의 휴식 상태로 시스템을 전환
  • suspend.target : 모든 시스템 활동을 중단하고 메모리 내용을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
  • hibernate.target : 시스템 메모리 내용을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
  • hybrid-sleep.target : 잠자기 모드와 최대 절전 모드의 장점을 결합하여 시스템 상태를 유지

무언가 이상하다.

 

부팅 후 정확히 1시간 간격으로 헬리콥터 소리가 난다.

우분투 LTS 20.04 에는 이런 현상은 없었다.

그때는 팬티엄 CPU라서 괜찮은 건 아닐 것이다.

 

음 해결해야하는 문제이다.. 😅

(절전 때문일려나??)


마치며

잠시 Y코더 서버실을 소개하겠다.

 
기가비트 인터넷과 시놀로지 그리고 우분투 서버이다.
24시간 돌아가고 UPS를 설치해서 정전시 30분 정도는 무리없이 서비스 가능하다.

( UPS가 있으면 점심을 먹지 않아도 밖에서 든든하다. )

 

과분할 정도로 사양이 넉넉해서 과분하게 느끼지 않도록~!!

앞으로도 필자가 열심히 노력하여 모든 자원을 알차게 쓰는 것이 목표다!! 👍


서버의 사양이 궁금하다면?

https://yy-tech.tistory.com/285

 

리눅스 서버 업그레이드(우분투, CentOS)

서버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순간을 느끼다! 어느날 펠월드라는 게임이 출시하였고 그에 맞춰서 서버를 만들어 친구들과 게임을 플레이 하려고 했다. 하지만 펠월드 서버 사양은 지금의 마인크래

yy-tech.tistory.com

 
해당 포스팅을 읽어주세요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728x90

'서버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9 서버 설치기  (117) 2024.03.13
우분투 서버 부팅 안될 때 파일 백업하기  (126) 2024.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