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332 04월 06일 - (114일차) 리액트 수업이다. 2023. 4. 6. 04월 05일 - (113일차) 설정을 잘 해야겠다. 2023. 4. 5. Thymeleaf 기본 객체 Thymeleaf 안에 여러 종류의 기본 객체로 코드를 쉽게 짤 수 있다. ( 예를 들어 문자, 숫자, 파라미터 등등 이다. ) 예제로 화면에 출력되는 숫자를 모두 5자리로 만들어보자. [[${#numbers.formatInteger(dto.sno, 5)}]] 위 코드 처럼 포맷팅이 가능하다. 프로젝트 내 파일 ( build.gradle ) 에 아래의 구문을 추가하고 코끼리 아이콘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다운이 되나보다.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compileOn.. 2023. 4. 4. 04월 04일 - (112일차) Thymeleaf 를 깊이 공부 하고 있다. 2023. 4. 4. 04월 03일 - (111일차) 오늘은 전부 자습인 날이다. 이때까지 부족했던 블로그 내용을 정리할까 마음 먹었다. 원래대로 흘러갔다면 주말에 모든 정리를 마치려고 하다가 암기가 더 중요할 것 같아서 내용 정리하는 겸 메모장에다가 적어가며 외웠다. 2023. 4. 3. 리다이렉트가 필요한 이유 ( 포워드 차이점 ) 쇼핑몰로 예를 들겠습니다. 이 쇼핑몰에는 회원 등급이 매겨져 있습니다. ( 게스트, 일반, vip, vvip 등등 ) 같은 쇼핑몰의 이용자라도 특정 등급이 되어야만 열람할 수 있는 게시글이 있습니다. 즉, 특정 게시물의 접근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에.. 등급을 요하는 게시글의 URL을 알아내여 주소창에 입력해서 접근을 한다면 권한이 없으니 응답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러니 글에 접근하려고 시도할때마다 권한을 검사하도록 리다이렉트를 시키는 겁니다. ( 로그인이 안되어있으면 로그인 페이지로 리다이렉트 함 ) 라다이렉트와 포워드의 차이점 특정 URL을 사용자가 접속시 리다이렉트, 포워드가 일어나게 되면 작업 중인 페이지가 전환된다. 이렇게만 두고 본다면 이 둘의 차이점을 느낄 수가 없다. 겉을 .. 2023. 4. 3. 제어문 처리 ( Thymeleaf편 ) - 4 - 링크 처리에 대해 알아보자. Thymeleaf 에서의 링크는 @{ } 를 이용해야 한다. 아래의 내용은 SampleController 내용중 일부 이다. @GetMapping({"/ex2", "/exLink"}) public void exModel(Model model){ List list = IntStream.rangeClosed(1, 20).asLongStream().mapToObj(i->{ SampleDTO dto = SampleDTO.builder() .sno(i) .first("First....." + i) .last("Last......" + i) .regTime(LocalDateTime.now()) .build(); return dto; }).collect(Collectors.toList().. 2023. 4. 3. 제어문 처리 ( Thymeleaf편 ) - 3 - th:block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th:block는 특이하게 태그를 붙여서 쓰는 구문이 아니다. 예문을 살펴보자 실제 화면이 실행이 되면 위의 코드는 html로 처리 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루프 등을 별도로 처리하는 용도로 사용된다고 한다. 2023. 4. 3. 제어문 처리 ( Thymeleaf편 ) - 2 - 이번에는 inline 속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inline 속성은 개발에 가장 많은 도움을 준다고 한다. 주로 javaScript 를 처리 할때 편리하게 사용된다. 코드의 일부분을 따왔다. 태그에 th:inline 속성을 추가하여 자바 스크립트를 연결 시킨다. 예제들을 따라해보면.. 따로 처리한 구문이 없어도 DTO에서 가져온 값들이 JSON 포맷의 문자열로 된 것을 볼수가 있다. 2023. 4. 3. 제어문 처리 ( Thymeleaf편 ) - 1 - Thymeleaf 에서 제어문 처리를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자 마찬가지로 th: 를 적고 원하는 처리 값을 입력 하는 방식이다. th:if 는 보이는 대로 if문인데 다른 언어와 다른 점이 존재한다. 다른 언어들은 if~ else 가 하나의 묶음으로 처리가 되지만 이 언어는 단독으로 처리 된다. 다음 코드를 보자 다음과 같이 로 나누어진 모습을 보인다. 여기서도 css를 적용시킬수가 있다. 이와 같이 특정한 상황에서만 class 속성값이 입혀지고 나머지 값들은 값을 충족하지 않기에 class 속성이 입혀지지 않는 것을 확인 할수 있다. 2023. 4. 3. 03월 31일 - (110일차) 3월의 마지막 날이다. 블로그 총 정리를 하고 있다. 2023. 4. 3. Thymeleaf를 사용하는 프로젝트 Thymeleaf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를 생성할때 템플릿 엔진 항목에서 Thymeleaf를 추가한다. Thymeleaf를 이용하는 프로젝트는 변경 후 만들어진 결과를 보관(캐싱)하지 않도록 설정 해두는 것이 편리합니다. 이 말의 뜻을 아직까지 잘 모르겠다.... 하다보면 보관하면 안되는 이유를 알지 않을까 싶다. 설정법은 다음과 같다.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아래의 구문을 넣어준다. spring.thymeleaf.cache=false 책의 예제를 따라해보려고 한다. 우선은 SampleController 클래스를 추가해 보자 첫번째로 잘 작동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SampleController 에 @Log4j2 를 적용을 한다. 아하... 그러면 의문점이 생긴다 @Log4j2.. 2023. 4. 3.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