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서버21 도커 설치 도커를 설치해보자 https://www.docker.com/ Docker: Accelerated, Containerized Application Development Docker is a platform designed to help developers build, share, and run modern applications. We handle the tedious setup, so you can focus on the code. www.docker.com 사용하고 있는 플랫폼에 맞춰서 다운받아서 설치 하면된다. 2023. 5. 12. 도메인으로 나스 접속을 하다. 가비아에서 원하는 도메인을 구입하고 나스에 적용한지 시간이 흘렀지만 이렇게 기록을 남긴다. 블루아카이브 라는 게임을 상당히 좋아하는데 나스 이름도 이렇게 정하고 배경까지 게임사에서 배포한 이미지를 사용하였다. 윈도우, 맥으로 데이터 전송이 번거로웠는데 나스를 구비하고 용량에서 자유로워지니 즐겁다. 2023. 5. 7. 우분투 서버 나스 공유 폴더 사용하기 나중에 우분투 서버를 돌리다가 용량이 많이 부족해 지는 것을 대비하여 나스 서버로 백업을 하기 위하여 마운트 해보기로 했다. 우선 슈퍼 유저 계정으로 로그인 한다 ( su ) 항상하는 작업 apt-get update 를 입력하고 Smbfs 설치 sudo apt-get install smbfs 해당 구문을 입력하여 설치 해준다. 삼바 클라이언트 설치 apt-get install smbclient 를 입력해서 클라이언트를 설치한다. 나스 접속하기 smbclient -L 시놀로지ip -U 사용지이름 그러면 공유 디스크가 쭈욱 뜬다. 확인이 되었으면 마운트 해보자 우분투 SMB 디렉터리 마운트 우선 마운트가 될 폴더를 생성해 준다. mkdir /media/mynas mount -t cifs //시놀로지IP/공유.. 2023. 5. 4.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우분투로 앗.. Usb를 잘못 구웠다.. 다시 해야한다.. 기존에 사용하던 윈도우 서버를 대용량 하드로 백업 후에 작업을 하였다. 마인크래프트에 사용하던 환경은 이러하다. cpu : 인텔 G6405 ram: 2666 8G x 2 ssd: 하이닉스 mvme m.2 512G 보드: H470 파워: 120W 인터넷을 기가랜으로 설치 한 것을 매우 잘한것 같다. 2023. 5. 4. 도커에 MySQL 설치후 외부접속 시스템 : 우분투 20.04 관리자 권한 su 입력후 진행한다. 이미지 다운 docker pull mysql 해당 코드 입력시 이미지가 다운됨 docker images 해당 코드 입력시 이미지를 조회함 컨테이너 생성 mkdir mysqldata 해당 코드 입력시 디렉터리 생성 docker run -d -p 3306:3306 --name mysql-container -e MYSQL_ROOT_PASSWORD=1234 -v ~/mysqldata/:/var/lib/mysql mysql --character-set-server=utf8mb4 --collation-server=utf8mb4_unicode_ci 해당 코드 입력시 컨테이너를 생성함 docker ps 해당 코드 입력시 컨테이너 생성을 확인 할수 있다. .. 2023. 5. 4. MySQL 유저 비밀번호 변경 https://toytvstory.tistory.com/1617 해당 글이 아니였으면 비번을 변경하지 못할 뻔 했다. 2023. 5. 4. 도커 설치 https://docs.docker.com Docker Docs: How to build, share, and run applications docs.docker.com 플랫폼에 맞춰 설치 하면된다. 엔진 설치시 번들로 자동 설치되게 된다. 2023. 5. 4. 도커를 배워 보자 나스를 구비하고 우분투 서버를 운용하게 되었다. 열심히 해보자. 2023. 5. 4. NAS를 다시 구비하다 사진공부와 개발공부 두마리 토끼를 잡아보자!! 카메라로 찍은 파일들이 점점 커져서 저장공간이 부족해졌다. 그래서 개발도 할겸 나스를 다시 사게 되었다. 중고로 사게 되었는데 겉모습은 상당히 깔끔했다.... 그런데... 하드를 넣으려고 베이를 꺼낸 순간 안에 수많은 먼지들이 보였다. 그냥 쓰기에는 너무 먼지가 많아서 청소를 하기로 하였다. 결국은 전부 오버홀 하여 칫솔로 먼지를 털어내었다. 조금 어질러져 보여도 다 질서가 있게 분해 하였다. 블레이드에 먼지가 상당히 많았는데 모두 털어내고 면봉으로 청소 하였다. 오래 쓴 것 같아서 뒤에 구리스를 주입할려고 열었다. 자석으로 무엇인가 붙어있었고 그것을 때내자 플라스틱이 막고 있었다. 작은 드릴로 플라스틱을 파내고 구멍을 내서 거기에다 구리스를 주입하여 정비를.. 2023. 5. 4. 이전 1 2 다음 728x90